수신차단을 했는데도 같은 스팸메일이 수신됩니다.
대부분의 스패머들이 같은 주소로 발송하지 않고, 계속해서 보낸이 주소를 변경해가며 스팸을 보내기 때문에
수신차단을 하여도 보낸이 주소만 바뀐 같은 내용의 스팸이 수신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런 이유로, 스팸을 모두 수신차단하더라도 차단 효과가 크지 않았습니다.
Daum메일 '스팸 관리'를 설정하시면 유사 스팸메일은 자동으로 차단되므로, 수시로 바뀌는 스패머의 주소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스팸 자동 분류 항목' 및 '스팸 자동 이동' 설정 옵션을 설정하세요.
※ 메일 운영 정책 내 "스팸 차단 방법" 참고 부탁드립니다.
메일 수신차단 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 수신차단 메일 주소 또는 도메인 입력 방법 ]
"설정 > 스팸 관리 > 수신 허용 / 차단"에서 차단할 이메일 주소(도메인)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수신차단한 주소(도메인)에서 오는 메일은 회원님께 전달되지 않고 보낸 이에게 반송됩니다.
메일주소는 1,000개, 도메인 주소는 200개까지 수신차단 리스트에 등록할 수 있습니다.
스팸차단(스팸신고)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스팸신고'란 스팸메일을 Daum메일 관리자에게 신고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스팸메일을 선택 후 상단 툴바에 있는 스팸차단 버튼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신고된 메일의 내용 검토 후 스팸메일로 확인될 경우, 같은 사용자가 다시 스팸메일을 보내지 못하도록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스팸신고'는 메일목록 상단과 메일읽기 상단의 스팸차단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차단된 메일을 수신허용 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회원님이 받고자 하는 메일주소를 수신허용목록으로 등록하여,
받은 메일함으로 분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만약 받고 싶은 메일이 스팸함으로 수신된 경우 '스팸해제'를 클릭하시면
수신허용목록에 등록되어 이후부터는 받은 메일함으로 수신됩니다.
실수로 스팸 차단을 했는데 취소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스팸차단 버튼을 통하여 신고하더라도 발송 측에서 정상적인 메일을 발송한 경우라면,
불이익이 없지만, 발송 측 메일 주소가 수신 차단 목록에 등록되기 때문에 수신 차단 목록에서 발송 측 메일 주소를
삭제해야지만 정상적으로 메일 수신이 가능합니다.
아래의 내용으로 차단해제 해보시길 바랍니다.
[ 스팸 차단 해제 방법 ]
① Daum 메일 접속 후 [스팸함]으로 이동
② 스팸함으로 이동된 메일을 체크 후 [스팸해제] 클릭
스팸함으로 이동된 메일이 이미 삭제된 경우에는, [설정 > 스팸관리 > 수신허용/차단 > 수신차단 목록]에서
차단해제할 주소에 마우스를 올려놓으시면 나오는 [X] 버튼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스팸으로 자동 분류 설정을 했는데, 일부가 받은메일함으로 수신됩니다.
아래 같은 경우 자동분류 설정을 했으나 받은메일함으로 메일이 수신될 수 있습니다.
case 1. 자동분류 조건이 여러 개 등록된 경우
예시)
#. 메일정보
- 발송자 주소: daum@daum.net
- 수신된 메일 제목: (광고) 안녕, 난 다음이야!!
#. 자동분류 조건
- 우선순위 1: 보내는이에 "daum@daum.net"이 있는 경우 받은메일함으로 이동
- 우선순위 2: 제목에 "(광고)"가 포함된 경우 스팸메일함으로 이동
제목에 "(광고)" 키워드가 포함되어있더라도 '우선순위1'에 맞는 조건의 메일이라면 자동분류 우선순위에 따라 받은메일함으로 수신됩니다.
case 2. 자동분류 조건 중 수신 시 '완전삭제'로 처리되는 조건이 있는데 해당 발송자가 수신허용 리스트에 있는 경우
자동분류 조건 중 '완전삭제'로 처리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나 해당 발송자가 수신허용 리스트에 있다면 받은 메일함으로 수신됩니다.
'완전삭제'로 이동하도록 하고 싶으시다면, 수신 목록(설정 > 스팸관리 > 수신허용/차단 > 수신 허용 목록) 및 주소록에서 해당 발송자의 이메일 주소를 삭제해야합니다.
스팸메일 발송자를 고발할 수 있나요?
Daum은 스팸신고를 받은 후 발송자 IP차단, 경고조치 등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행법상 스팸메일에 대한 처벌은 발신자와 수신자 즉, 스팸메일을 발송하는 자와 전달받은 사용자 간
법적 관계로 규정되어 있어 저희가 직접 스팸메일 발송자를 고발하기는 어렵습니다.
스팸 발송자를 법적으로 처벌하기 원하시면 메일의 헤더 정보와 아래 3가지를 첨부하여
불법스팸대응센터 에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 처음 받은 메일
- 거부 의사를 밝힌 메일
- 수신 거부 후 다시 수신된 스팸메일
SPF가 무엇인가요?
[SPF : Sender Policy Framework]
메일 서버 IP를 사전에 DNS(도메인 서버)에 등록하여 수신자로 하여금 이메일에 표시된 보낸이 서버 IP가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메일 서버 IP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기술입니다.
예시)
메일을 보낸이의 주소가 abc@abc-domain.com 이라면
이 메일은 abc-domain.com의 메일서버에서 발송이 되었어야 정상입니다.
SPF는 메일을 받은 수신서버에서 실제로 메일을 보낸 서버의 IP와 SPF정보로 등록된 abc-domain.com의
발송 서버 IP를 비교하여 이 메일이 정상적인 발신지에서 발송이 된 것인지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실제 보낸 서버 IP와 SPF설정 된 발송 IP가 불일치하는 경우 :
- 신뢰할 수 없는 도메인으로부터 발송된 메일로 판단하여 반송되거나 스팸메일로 분류
[SPF의 메일 인증 절차]
SPF는 DNS(도메인 서버)기반의 스팸필터링 기술로 메일을 발송한 도메인에 대해
실제로 정상적인 도메인에서 발송되었는지 질의를 통하여 처리합니다.
즉, 메일 발송자의 DNS서버의 특정레코드(TXT)에 질의를 하고 응답 결과 값에 따라
정상적인 메일인지 아닌지를 구분 것입니다.
SPF를 이용한 메일 필터링 구조를 간단하게 표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메일발송 > 메일수신 > DNS에 대한 질의(SPF조회) > 질의 결과값 리턴 > 메일서버 정책에 따라 처리
[SPF의 필요성]
SPF를 설정하면 스패머가 도메인에 등록되지 않은 IP에서 메일을 발송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런 종류의 스팸 메일을 위장이라며 하며 SPF는 도메인에서 위장을 방지하는 이메일 보안 방법입니다.
위장은 이메일을 무단으로 사용하는 가장 흔한 방법으로 메일 서버에는 SPF가 필요합니다.
도메인에 SPF를 설정하지 않으면 메일이 반송되거나 스팸메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스팸메일 수신 자체를 사전에 막을 수 없나요?
Daum메일에서는 스팸메일 수신을 차단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다만, 아래와 같은 기술적인 이유로 인해 일부 스팸메일이 스팸함 등으로 수신될 수 있습니다.
- 유동 IP (케이블모뎀, ADSL 등의 사용자의 경우 자기 PC의 IP를 다수의 다른 IP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를
사용하여 스팸을 발송하는 경우 해당 IP를 막더라도 스패머는 다른 IP를 이용해 스팸을 보낼 수 있기 때문에
각 유동 IP 대역을 모두 막기 전에는 스패머들이 이 IP들을 통해 스팸을 발송할 수 있습니다.
- 스패머들이 relay 기능이 열린 3자 서버를 이용하는 경우 해당 서버에서는 정상적인 메일과 스팸이 섞여서 발송되게
됩니다.
이 경우에 이를 차단하게 되면 정상적인 메일도 받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또, relay가 열려서 스패머에게 악용된 경우에 해당 관리자가 이를 인지하여 빠른 대처를 하면 좋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가 더 많습니다.
- 여러 무료 웹메일 계정 사이트, 포털 사이트에 다수의 ID를 생성해서 각 계정에서 스팸을 뿌리는 경우
해당 사이트를 전체를 막게 되면 메일 전송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게 되고
각 사이트가 자체적으로 정화하도록 요청하는 수준의 소극적인 방법으로는 효과적인 차단이 되지 못했습니다.
회원님마다 같은 메일에 대해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나뉘는 경우에도
일관되게 차단시킬 수 없었습니다.
스팸차단 시스템을 더욱 정교화하고 정책을 강화하여 앞으로도 스팸차단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원하시는 답변을 찾지 못하셨다면, 고객센터에 문의하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