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메일 앱은 무료인가요?
다음 메일 앱 설치 및 사용은 무료입니다.
단, 와이파이가 아닌 3G/LTE 환경에서 다운로드 받거나 앱 이용 시에는 이동통신사의 데이터 요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Daum 메일 앱은 안드로이드용만 있나요?
아닙니다, Daum 메일은 Android, iOS용 메일앱을 모두 제공하고 있습니다.
단, 이용하시고 계신 단말기의 OS버전에 따라 설치가 불가능할 수 있으니 아래 지원 OS를 확인해주세요.
[지원 OS]
- Android 다음메일앱: Android 8.0 Oreo 이상 버전 지원
- iOS 다음메일앱: iOS 14 이상
지원 OS 이하 버전의 스마트폰은 OS를 업데이트 하시면 메일앱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일 앱에서 로그아웃은 어떻게 하나요?
Daum ID를 메일 앱에서 로그아웃하려면 아래 방법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메일앱에 설정한 계정 설명, 색상 등의 기본정보 및 모바일 서명, 알림, 동기화 주기 등
설정 값은 계정 연결 해제와 동시에 앱에서도 삭제되며, 동일한 주소를 앱에 연결하더라도
설정 값이 유지되지 않습니다.
로그아웃 방법
1. Android 다음메일앱
왼쪽 상단 '≡' 터치 > 환경설정 > 원하는 '계정' 선택 > '로그아웃'(Daum 계정) 혹은 '계정 삭제' (외부메일 계정) 버튼 누름
2. iOS 다음메일앱
왼쪽 상단 '≡' 터치 > 환경설정 > '계정' 선택 > '로그아웃' 버튼 누름
통합 메일 앱, 다계정 메일 앱이란 무엇인가요?
하나의 앱에 여러 개의 메일을 연결하여 읽고, 쓰고, 관리할 수 있는 것을 '통합 메일 앱' 또는 '다계정 메일 앱'이라 부릅니다.
Daum 메일 뿐만 아니라 네이버, 네이트, 구글, 야후, 아웃룩 등 사용하시는 대부분의 메일 주소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새 메일이 오면 도착 알림을 받을 수 있고, 답장 및 메일 삭제도 가능합니다.
PC 및 모바일 웹과 동기화하여 웹에서 사용한 내역과 앱에서 사용한 내역을 그대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메일 앱은 딱 하나만 사용하여 배터리 사용량도 줄이고, 중요한 정보도 놓치지 말고 관리하세요!
[계정 추가] 여러 개의 메일 주소를 앱에 연결하려면 어떻게 하나요?
[Android 계정 추가 방법]
방법 1.
① 목록 화면에서 왼쪽 상단의 편지함 서랍 버튼(≡)을 누릅니다.
② 위쪽 '계정 설명' 영역에서 아래를 가리키는 화살표(▽)를 누릅니다.
③ [+ 계정 추가] 버튼을 누릅니다.
➃ 추가를 원하시는 메일 서비스를 선택하신 후 ID 혹은 이메일 주소 및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방법 2.
① 목록 화면에서 왼쪽 상단의 편지함 서랍 버튼(≡)을 누릅니다.
② 편지함 서랍이 열리면 왼쪽 아래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아이콘을 선택합니다.
③ 설정 화면에 진입하면 [계정 추가 +] 를 선택합니다.
➃ 추가를 원하시는 메일 서비스를 고른 후 ID 혹은 이메일 주소 및 비밀번호 입력합니다.
*iOS 메일앱은 현재 다계정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참고 부탁드립니다.
[계정 추가] Daum 메일을 앱에 연결하는 방법
Daum 앱을 설치하신 경우, '간편 로그인'을 통해 터치 한 번으로 Daum 메일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간편 로그인이란,
Daum 앱에 설정한 아이디/비밀번호를 통해 메일 앱 뿐만 아닌 Daum의 모든 앱에서 로그인 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간편 로그인 기능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메일 앱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Daum 로그인 화면에 아이디/비밀번호를 입력하시면 간편하게 Daum 메일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Daum 메일 연결에 실패하는 경우, PC에서 IMAP 혹은 POP3 '사용하기'로 설정하시면 정상적으로 앱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MAP은 메일을 단순히 다운로드하는 것이 아니라, 폴더별 동기화는 물론 앱에서 수행한 별표시·삭제·읽음 표시 등도 서버에 동기화 되므로 POP3보다는 IMAP 사용을 추천해 드립니다.
[계정 추가] 회사 메일, 학교 메일 등을 앱에 연결해 사용하고 싶습니다.
회사 혹은 학교 메일이 IMAP이나 POP3를 지원한다면 손쉽게 등록하여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계정 추가 방법
① 계정 추가 화면에서 '기타 메일 계정'을 눌러주세요.
② 이메일 주소와 비밀번호을 입력해주세요.
③ 왼쪽 하단의 '상세 설정' 버튼을 눌러주세요.
④ IMAP과 POP3 중 입력하신 메일 계정에서 지원하는 프로토콜을 선택해 주세요.
⑤ 받는 서버 설정 화면에서, 서버 주소/보안 형식/포트를 입력하시고 '다음' 버튼을 눌러주세요.
⑥ 보내는 서버 설정 화면에서도 마찬가지로 서버 주소/보안 형식/포트를 입력해주세요.
- 이메일 주소가 어떤 프로토콜(IMAP 혹은 POP3)을 지원하는지는 해당 메일 서비스 관리자에게 문의 바랍니다.
- 받는 서버 및 보내는 서버의 주소/보안 형식/포트는 해당 메일 서비스 관리자에게 문의 바랍니다.
- 현재 익스체인지(Exchange) 메일의 ActiveSync 방식은 지원하지 않는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익스체인지 메일도 앱에 등록하여 사용하실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고민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하지만 해당 익스체인지 메일 서버에서 IMAP/POP3 방식을 지원한다면, 계정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사용하시는 메일 서비스의 관리자에게 IMAP/POP3를 지원하고 있는지, 지원이 가능할지 문의해 보세요.
[계정 추가] 구글 지메일(Gmail)을 앱에 연결하는 방법
메일 앱 [계정 추가] 화면에서 'Google' 서비스를 선택합니다.
ID 혹은 이메일 주소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에 성공하면 바로 메일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로그인에 실패하는 경우, 아래의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실 수 있습니다.
1. PC 웹에서 지메일 오른쪽 상단 톱니바퀴 버튼을 클릭하시어 [환경설정]으로 들어갑니다.
2. 상단 파란색 글씨로 된 [전달 및 POP/IMAP] 카테고리를 선택합니다.
3. [IMAP 액세스 > IMAP 사용] 혹은 [POP 다운로드 > 이미 다운로드 된 메일을 포함하여 모든 메일에 POP를 활성화 하기]를 선택합니다.
4. 설정 후 하단의 '변경 사항 저장' 클릭합니다.
※ IMAP은 메일을 단순히 다운로드하는 것이 아니라, 폴더별 동기화는 물론 앱에서 수행한 별표시, 삭제, 읽음표시 등도 서버에 동기화되므로, POP3보다는 IMAP 사용을 추천해 드립니다.
[계정 추가] 네이버 메일을 앱에 연결하는 방법
네이버 메일을 앱에 연결하시려면, IMAP 혹은 POP3를 '사용하기'로 설정하셔야 합니다.
IMAP은 메일을 단순히 다운로드하는 것이 아니라, 폴더별 동기화는 물론 앱에서 수행한 별표시·삭제·읽음 표시 등도 서버에 동기화 되므로 POP3보다는 IMAP 사용을 추천해 드립니다.
자세한 방법은 아래 내용 확인 부탁 드립니다.
※ 네이버 메일 첫화면에서 설정하는 경로
1. PC에서 네이버 로그인 후 네이버 메일에 접속
2. 네이버 메일 > 좌하단 '환경설정' 클릭
3. 'POP3/IMAP 설정'에서 'IMAP/SMTP 설정' 탭 클릭 > IMAP/SMTP 사용에서 '사용함' 선택 > '확인' 클릭
※ 보다 간편하게 설정하려면?
1. PC에서 네이버 로그인 후 바로 이 URL로 접속 ☞ http://mail.naver.com/option/imap
2. IMAP/SMTP 사용에서 '사용함' 선택 > '확인' 클릭
[사이드메뉴] '통합 메일 보기'란 무엇인가요? 모든 계정의 메일을 통합해 볼 수 있나요?
메일 목록 화면에서 손가락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당기면 편지함 서랍이 열립니다.
또는 메일 목록 화면에서 왼쪽 상단의 편지함 서랍 버튼(≡)을 누릅니다.
최상단에 메일 계정 옆에 아래로 향한 화살표(▽)를 누르시면 '통합 메일 보기' 메뉴 및 메일 앱에 연결된 계정 목록이 열립니다.
'통합 메일 보기'에서는 각 계정의 개인 메일함들은 보이지 않고,
모든 메일 계정에 동일하게 존재하는 안읽음, 중요, 첨부, 전체메일, 받은메일함, 보낸메일함, 보관메일함, 임시보관함 및 휴지통에 포함된 메일을 통합하여 한꺼번에 읽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