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기화 할 때 동기화 범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동기화 범위를 벗어나는 일정은 동기화 되지 않습니다.
동기화 범위 설정은 '설정 > 캘린더 계정 > 동기화 범위'에서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동기화 범위를 길게 설정할 경우 일정 등록 수에 따라 최초 동기화 시간이 조금 더 소요되거나,
폰 내 메모리를 조금 더 차지할 수 있습니다.
동기화는 정해지 시간 간격에 따라 진행되기 때문에 등록과 동시에 바로 앱(또는 캘린더)에 등록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동기화 주기 설정은 "설정 > 캘린더 계정 > 동기화 주기"에서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설정 > 캘린더 계정 > 동기화 주기'에서 계정 오른쪽의 동기화 아이콘을 클릭하여 동기화할 수 있습니다.
쏠캘린더에서는 스마트폰에 기본적으로 연결된 구글 계정의 캘린더 일정을 별도의 계정 추가 없이 기본적으로 보여드리고 있습니다.
기본 구글 계정의 캘린더 일정을 동기화하려면 스마트폰의 '설정' 페이지에 가서
'계정 및 동기화 > Google'로 들어가 상단 계정을 누르면 나오는 세부 서비스 리스트 중 '쏠캘린더 동기화'에 체크하시면 됩니다.
구글의 경우 동기화할 캘린더를 따로 설정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기기의 모바일 브라우저에서 동기화 설정 페이지 (https://www.google.com/calendar/syncselect)에 들어가서 설정을 하면 됩니다.
캘린더 카테고리의 제한은 없습니다.
하지만 지나치게 많은 캘린더를 추가할 경우 데이터를 불러오는 데 다소 시간이 걸려 이용에 불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외부 계정은 최대 10개까지 연결할 수 있습니다.
'표시 캘린더 선택' 창이 나옵니다. 그 중에서 화면에서 보고 싶은 캘린더를 체크하시면 됩니다.
구글캘린더는 스마트폰 자체에서 지원하는 동기화 기능을 사용하기 때문에
쏠캘린더에서 동기화 범위를 따로 지정할 수 없습니다.
쏠캘린더는 지난 일정에 대해서는 최대 2년, 앞으로의 일정은 최대 3년까지 동기화가 가능합니다.
※ 전체 기간의 일정을 동기화 기간으로 설정할 수 없습니다.
동기화 캘린더 계정 등록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가능합니다.
네이버 캘린더도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하시면 계정등록 가능합니다.
쏠캘린더 동기화 설정 방법
① 쏠캘린더 실행 > 기기의 메뉴 버튼이나 좌측 상단의 '≡' 버튼 누르기 > 우측의 설정 버튼 누르기
② '캘린더' 메뉴의 '캘린더 계정 추가' 누르기 > 해당 캘린더 계정 선택 (없으면 '사용자 설정')
③ 해당 계정의 아이디, 패스워드 입력후 '확인' 누르기
원하시는 답변을 찾지 못하셨다면, 고객센터에 문의하여주세요